반응형

1. 파이썬 리스트란

리스트(list)는 순서(sequence)가 있는 데이터 목록입니다.

 

2. 리스트 만들기

리스트 이름(변수) = [값1, 값2, ...]

 

순서가 있는 집합 자료형 리스트(list)를 만드는 방법입니다.

저는 리스트 이름(변수)을 list1이라고 하겠습니다.

list1 = [1, 2, 4, 3]

 

직접 만든 리스트 데이터를 확인해 볼까요?

 

리스트 이름(변수)을 입력하면

대괄호([]) 안에 해당 데이터가 나타납니다.

list1
[1, 2, 4, 3]

 

반응형

 

3. 색인 / 인덱스 (index)

리스트는 순서가 있는 데이터 목록이므로

리스트 내 각 데이터는 색인(index)을 가집니다.

 

왼쪽에서부터 0, 1, 2, 3, ...

오른쪽에서부터 -1, -2, -3, ...

 

특정 리스트에서 색인을 통해

해당 순서의 데이터를 찾는 방법입니다.

list1[0]
1

list1[2]
4

list1[-2]
4

 

 

4. 색인 활용해서 값 바꾸기

리스트 내 데이터를 수정할 때 색인을 활용해

해당 순서에 있는 데이터를 수정할 수도 있습니다.

list1[0] = 10

 

그리고 다시 list1이라는 리스트의 데이터를 확인해 봅니다.

list1
[10, 2, 4, 3]

 

 

5. 리스트 값 추가하기

list.append()

 

위에서 만들어 둔 리스트에 데이터를 추가하는 방법입니다.

list1.append(2, 5, 7)

 

그리고 다시 list1이라는 리스트의 데이터를 확인해 봅니다.

list1
[10, 2, 4, 3, 2, 5, 7]

 

 

6. 리스트 값 제거하기

list.remove()

 

위에서 만들어 둔 리스트에서 데이터를 삭제하는 방법입니다.

list1.remove(10)

 

그리고 다시 list1이라는 리스트의 데이터를 확인해 봅니다.

list1
[2, 4, 3, 2, 3, 7]

 

 

7. 중복 값 제거 순서

앞쪽에 배치된 데이터부터 삭제됩니다.

 

위에서 만든 list1이라는 리스트에는 중복 데이터가 있습니다.

인덱스 0번 데이터와 인덱스 3번 데이터에 2가 두 개 있죠.

 

이때 2 한 개를 삭제하라고 하면 어떻게 될까요?

list1.remove(2)

 

순서가 빠른 데이터부터 삭제됩니다.

list1
[4, 3, 2, 3, 7]

 

그리고 한 번 더 2를 삭제하라고 하면 남은 2도 삭제됩니다.

list1.remove(2)

list1
[4, 3, 3, 7]

 

여기서 한 번 더 2를 삭제하라고 하면 어떻게 될까요?

list1.remove(2)
ValueError: list.remove(x): x not in list

리스트에 2라는 데이터가 없다는 밸류에러가 발생합니다.

 

 

8. 리스트 길이(값 개수) 확인하기

리스트 내 몇 개의 값이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방법은

엑셀에서 글자 수를 확인하는 방법과 동일합니다.

 

len()

 

바로 위에서 수정한 list1이라는 리스트의 데이터 개수를 확인해 봅니다.

len(list1)
4

 

+ Recent pos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