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
1. 파이썬 세트(set)란

세트(set)는 중복 데이터를 허용하지 않고

고정 순서가 없는 데이터의 집합입니다.

 

 

2. 세트 만들기

2-1. 빈 세트 만들기

데이터를 채우지 않고 빈 세트를 만드는 방법입니다.

 

세트 이름(변수) = set()

 

저는 set1이라는 세트 이름(변수)을 가진 빈 세트를 만들어 보겠습니다.

set1 = set()

 

방금 만든 set1을 출력해 봅니다.

set1
set()

 

set1이 세트로 잘 만들어졌는지 데이터 타입을 확인해 볼까요?

type(set1)
set

 

 

2-2. 세트 만들기

바로 데이터를 포함한 세트를 만들 때는

세트 이름(변수)에 중괄호({})를 활용해 데이터의 집합을 입력합니다.

 

세트 이름(변수) ={값1, 값2, ...}

 

이제 데이터를 포함한 set2라는 이름을 가진 세트를 만들어 봅니다.

set2 = {'a', 'e'}

 

set2를 출력해 보겠습니다.

set2
{'a', 'e'}

 

 

3. 색인 / 인덱스(index)

세트는 고정 순서가 없는 데이터의 집합이므로

색인을 가질 수 없습니다.

 

4. 세트 값 추가하기

이미 만들어 둔 세트에 데이터를 추가하는 방법은

데이터 개수가 하나인지, 여러 개인지에 따라 다릅니다.

 

4-1. 한 개 추가하기

데이터를 한 개만 추가할 때는 add 메소드를 사용합니다.

 

set.add(값)

 

 

위에서 만든 set2에 데이터를 한 개 추가해 보겠습니다.

set2.add('i')

 

데이터가 잘 추가됐는지 확인해 볼까요?

set2
{'a', 'e', 'i'}

 

 

4-2. 여러 개 추가하기

데이터를 여러 개 추가할 때는 update 메소드를 사용합니다.

 

set.update(값1, 값2, ...)

 

 

위에서 만든 set2에 여러 개의 데이터를 추가해 보겠습니다.

set2.update('a', 'o', 'u')

 

데이터가 추가된 결과를 확인해 볼까요?

set2
{'a', 'e', 'i', 'o', 'u'}

 

원래 'a', 'e', 'i'를 데이터로 가진 set2에 'a', 'o', 'u'를 추가했는데,

결과는 'a', 'e', 'i', 'o', 'u'가 나왔습니다.

 

왜일까요?

파이썬 세트는 중복 데이터를 허용하지 않기 때문입니다.

 

5. 세트 값 제거하기

세트에 포함된 데이터를 삭제할 때는 remove 메소드를 사용합니다.

 

set.remove()

 

set2에서 데이터 a를 삭제해 보겠습니다.

set2.remove('a')

 

결과를 확인해 봅니다.

set2
{'e', 'i', 'o', 'u'}

 

 

7. 세트 길이(값 개수) 확인하기

세트 내 포함된 데이터 개수를 확인하는 방법은

엑셀 글자 수 확인 방법과 동일합니다.

 

len()

 

바로 위에서 수정을 마친 set2 길이를 확인해 보겠습니다.

len(set2)
4

 

 

+ Recent posts